선택정렬(Selection Sort)
선택정렬(Selection Sort)는 원리가 가장 간단한 정렬 알고리즘 중의 하나다. 우선 배열 A[1...n]에서 가장 큰 원소를 찾아 이 원소와 배열의 맨 끝자리에 있는 A[n]과 자리를 바꾼다. 그러면 방금 맨 뒷자리로 옮긴 원소, 즉 가장 큰 원소는 자기 자리를 찾았으므로 더 이상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. 이 원소는 정렬이 끝났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제 이 원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소들로 같은 작업을 반복하면 된다. 간결하게 나타내면 각 루프마다최대 원소를 찾는다.최대 원소와 맨 오른쪽 원소를 교환한다.맨 오른쪽 원소를 제외한다.하나의 원소만 남을 때까지 위의 루프를 반복한다. 예를 들면, 정렬하고자 하는 배열(Initial array)에서 가장 큰 수(37)을 찾아 배열의 맨 끝 원소인 13과 자..
프로그래밍/자료구조&알고리즘
2014. 4. 22. 18:08